본문 바로가기
■ 유용한 정보

엠폭스 - 증상, 예방법, 치료법

by Nudger 2023. 5. 22.
반응형

엠폭스의 증상과 예방법, 그리고 치료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엠폭스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발진성 감염병입니다. 주로 밀접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발열과 피부에 붉은 종기가 나타나는 증상이 있습니다. 대부분 가볍게 증상을 앓고 회복되지만, 고위험군에선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엠폭스 증상

엠폭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열, 으슬으슬 추운 증상
  • 두통, 근육통, 호흡기 증상 (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
  • 목이나 겨드랑이, 사타구니 쪽 림프절이 붓는 경우가 많음
  • 1-4일 뒤에 붉은색 반점이 얼굴이나 입, 손, 발, 가슴, 항분 생식기 근처에 올라오는데 초기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음
  • 피부병변은 경계가 명확해 중앙이 파인 수포성 발진 형태로 손과 발바닥에도 잘 생김

 

엠폭스 예방법

  • 엠폭스 환자나 의심환자와의 밀접접촉을 피하고, 접촉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을 자주 씻어야 합니다.
  • 엠폭스 환자나 의심환자가 입었던 의복이나 생활용품 등은 끓는 물에 삶거나 고온에서 세탁해야 합니다.
  • 엠폭스 환자나 의심환자의 혈액이나 체액, 피부 병변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엠폭스가 유행하는 국가로 여행할 경우에는 현지 보건당국의 안내를 따르고, 돌아온 후에는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엠폭스 치료 방법

  • 엠폭스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으므로 대증적인 증상 완화 치료를 합니다. 예를 들어, 발열이 있으면 해열제를 복용하고, 피부 병변이 있으면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 엠폭스 환자는 격리병상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하며, 접촉자는 21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합니다.
  • 엠폭스에 대한 백신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백신은 고위험군이나 역학조사에 참여하는 보건인력 등에게만 제공됩니다. 

 

엠폭스 관련 기사

국내 감염 추정 엠폭스 환자 10명 추가…누적 30명(종합) | 연합뉴스 (yna.co.kr)

벌써 18명… 전국 확산되는 엠폭스, 주요 증상은?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chosun.com)

 

국내 엠폭스 환자는 지난해 6월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로 누적 30명으로 늘었습니다. 이 중 25명은 국내 감염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최근 일주일 사이에는 10명의 국내 감염 추정 환자가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엠폭스 환자의 거주지는 서울, 경기, 경북 등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