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바이오 시밀러 관련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바이오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을 모방해 만든 제품으로, 효과와 품질은 동등하지만 가격은 저렴합니다.
바이오 시밀러 관련주
바이오시밀러 관련주는 삼성물산, 셀트리온, 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이수앱지스, 서린바이오, 녹십자, 바이넥스, 한올바이오파마, 알테오젠 등이 있습니다.
- 삼성물산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분 43%를 보유하고 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하는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와 트룩시마를 개발하고 판매하고 있으며, 항암제인 허주마도 개발 중입니다.
- 셀트리온제약은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의 국내 독점판매권과 유통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마케팅 및 판매를 독점적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110여 개 국가에서 30개 파트너와 판매 및 유통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이수앱지스는 인도 제약사 바이오콘이 개발한 당뇨병 치료 바이오시밀러인 클라지아를 국내 출시하였으며, 발작성야간 혈색 소뇨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ISU305를 개발 중입니다.
- 서린바이오는 바이오의약품의 연구단계부터 전임상, 임상, 생산공정에 필요한 원부재료, 장비, 소모품 등을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 녹십자는 인도 제약사 바이오콘이 개발한 당뇨병 치료 바이오시밀러인 클라지아를 국내 출시하였으며, 헌터증후군치료제 '헌터라제’와 혈우병치료제 ‘그린진에프’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바이넥스는 바이오시밀러 생산이 가능한 생물산업기술 실용화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생산설비가 없는 대기업 및 바이오 업체들의 바이오시밀러 생상을 담당합니 .
- 한올바이오파마는 아미노산 치환 기술 등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가면역질환, 안구질환, 면역 항암 치료제 등의 바이오신약 개발을 진행합니다.
- 알테오젠은 항체 약물 융합 (ADC) 기술 등을 활용한 기존 바이오의약품을 개선하는 바이오베터 사업과 이머징 마켓을 타깃으로 아일리아와 허셉틴 등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사업을 영위합니다.
바이오 시밀러 관련주 투자시 주의점
- 금리 인상 : 금리 인상에 따라 제약·바이오 업체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투자자들의 위험선호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에 취약한 비상장 신약개발 바이오텍의 경우 불확실성이 증대될 수 있습니다.
- 임상 실패 : 바이오시밀러 개발은 기존 바이오의약품을 모방하는 것이지만, 완벽한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임상 실패 가능성이 있습니다. 임상 실패 시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경쟁 압력 :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진출과 국내외 업체들의 개발 경쟁으로 점점 공급 과잉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과 마케팅 전략이 중요해집니다.
- 특허 분쟁 : 바이오시밀러 개발은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특허 분쟁 시 판매 승인 지연 또는 손해 배상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다른 테마 관련주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